맨위로가기

산후안 (필리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후안은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세례자 요한을 수호성인으로 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산후안 델 몬테로 불렸으며, 필리핀 혁명의 주요 무대였다.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도시이며, 그린힐스 쇼핑 지구를 중심으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와타 와타 축제를 통해 수호성인을 기리고, 5명의 필리핀 대통령이 거주했던 곳으로 "필리핀 대통령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케손시티
    케손시티는 마닐라 과밀화 해결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주택 가격과 교통 문제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필리핀 수도이자 주요 기관과 대학이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며, 현재는 29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산후안 (필리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산후안 시, 메트로 마닐라의 깃발
산후안 시의 깃발
산후안 시, 메트로 마닐라의 문장
산후안 시의 문장
별칭다킬랑 룽소드 응 산후안 (위대한 산후안 시티)
좌우명디와 응 1896 ("1896년의 정신")
좌우명마카바공 산후안 (현대 산후안)
국가필리핀
지역마닐라 수도권
행정 구역바랑가이
바랑가이 수21개
건립1623년
도시 헌장2007년 6월 17일
지리 정보
면적5.87km²
해발 고도17m
가장 높은 고도136m
가장 낮은 고도0m
인구 정보
인구 (2020년)126,347명
가구 수34,449 가구
인구 밀도auto
인구 통계산후안 시민 (남성), 산후아네냐 (여성)
정치 및 행정 정보
시장프란시스코 하비에르 M. 자모라 (PFP)
부시장호세 안젤로 라파엘 E. 아그카오일리 (PFP)
하원 의원이사벨 마리아 J. 자모라 (Lakas)
시의원1구역
폴 앤서니 D. 아르타디 (PFP)
마. 안토니아 라이사 던 H. 로렐-수비하노 (PFP)
제임스 카를로스 A. 얍 (PFP)
존 에르빅 M. 비한드레 (PFP)
라이언 셸던 G. 야노스 디 (PFP)
호세 루벤 S. 톨렌티노 (PFP)
2구역
로렌조 프란시스코 A. 타냐다-얌 (PFP)
프란시스 키스 R. 페랄타 (PFP)
이스마엘 R. 마타이 4세 (PFP)
베아 셀린 DL. 데 구스만 (PFP)
롤란도 M. 베르나르도 (PFP)
돈 카를로스 아르망 C. 알라도 (PFP)
ABC 회장
라몬 낙필
SK 연맹 회장
조셉 크리스토퍼 토랄바
선거구80,425 유권자 (2022년 필리핀 총선)
정치 체제지방 정부
지방 정부 각주http://www.dilg.gov.ph/cities.php
경제 정보
소득 등급1등급 도시
빈곤율1.49% (2018년)
총 수익2,487,690,000 페소 (2020년)
자산7,439,660,000 페소 (2020년)
지출2,371,570,000 페소 (2020년)
부채684,370,000 페소 (2020년)
기타 정보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산후안 시 공식 웹사이트
기후

2. 어원

"산후안"은 이 도시의 전통적인 이름인 "'''산후안 델 몬테'''"(San Juan del Monte|산의 성 요한es)의 줄임말이다. 필리핀의 다른 여러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이름은 수호성인과 지명을 결합한 것이다. 이 경우 성 세례자 요한과 주변 지역에 비해 언덕이 많고 비교적 높은 고도의 지형을 결합한 것이다.[1]

이 도시의 공식 명칭은 "다킬랑 룽소드 응 산후안"(Dakilang Lungsod ng San Juan|산후안의 위대한 도시tl)이다.[1]

3. 역사

필리핀 선(先) 스페인 시대에 현재 산후안 지역은 라칸 타칸 왕과 그의 배우자 부안 여왕이 통치했던 나마얀 왕국의 일부였다.[4]

16세기 말, 스페인 제국이 섬의 왕국들을 흡수하면서 나마얀 왕국은 마닐라 산타 아나에 위치한 ''산타 아나 데 사파'' 교구로 개칭되었다. 1590년, 현재 산후안 지역은 산 후안 델 몬테의 작은 ''엔코미엔다''(읍)로 재분류되었다.[5]

1602년, 도미니코회는 카미노 데 만달루용(현재 F. 블루멘트리트 거리)을 따라 늙거나 요양 중인 수도사들을 위한 수련원을 건설하고, 수도원과 돌로 된 산토 크리스토 성당을 성 십자가에 헌정했다. 이 교회는 세 번 재건되어 아퀴나스 학교와 도미니칸 대학 옆에 현재까지 남아있다.[5]

식민지 정부는 1771년, 마닐라에서 격리된 산 후안 델 몬테에 ''알마센 데 폴보라''(El Polvorín)라는 요새화된 화약 창고를 설립했다. 이 화약 창고는 현재 산후안 초등학교 자리에 있었으며, 살라팡 강(현재 살라판 크리크)둑을 따라 위치했고, 카미노 데 마리키나(현재 N. 도밍고 거리)를 통해 마닐라, 산타 메사, 마리키나의 ''푸에블로''(현재 마리키나)와 연결되었다.[5]

1783년, 산후안델몬테는 지방 자치체로 승격되어 마닐라 주의 바리오로서 자체 지방 정부를 갖게 되었다. 옛 포블라시온은 산투아리오 델 산토 크리스토에서 카미노 데 마리키나로 옮겨졌고, 새로운 시청(현재 산후안 메디컬 센터)과 타운 광장(현재 산후안 플라자 마요르)이 건설되었다.[5]

1892년, 마닐라 대교구의 베르나르디노 노잘레다 신부는 산후안델몬테에 새로운 교구 설립을 승인했고, 프란체스코회는 현재 피나글라바난 거리에 산 후안 바우티스타 교회(현재 피나글라바난 교회)와 교구 사택을 설립했다.[5]

1900년의 ''엘 데포시토'' 저수지


산후안 초등학교 부지 내에 위치한 옛 ''알마센 데 폴보라(엘 폴보린)''의 사일로


1896년 8월, 필리핀 혁명 발발 당시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에밀리오 하신토가 이끄는 카티푸난 혁명군은 칼로오칸 (현재 케손 시티 일부) 푸가드 라윈에서 출발, 산후안 델 몬테의 ''엘 폴보린''과 군사 주둔지를 공격했다.[6][5] 100명의 스페인군 (보병, 포병)이 방어하던 중 카티푸네로스는 주둔지 사령관과 포병을 제거했지만, 남은 스페인군은 엘 데포시토 저수지로 후퇴했다. 큰 피해를 입은 카티푸네로스는 엘 폴보린을 점령하지 못하고 만달루용 남쪽으로 후퇴, 보니파시오는 생존자들을 재조직하고 전쟁 선언문을 발표하여 필리핀 전역으로 반란을 확산시켰다.

필리핀 혁명 이후 1898년 파리 조약으로 필리핀이 미국에 넘어가면서 제1 필리핀 공화국은 미군을 불신했고, 양측은 전투를 원했다. 1899년 2월 4일, 모롱 대대 제4 중대 소속 필리핀군이 산타 메사(현재 마닐라 삼팔록 일부)에서 1st 네브래스카 보병 연대 미군에게 공격받았다.[7]

미국 의용군 1st 네브래스카 보병 연대 소속 미군 초병 윌리엄 W. 그레이슨이 필리핀 병사 아나스타시오 펠릭스 하사와 다른 병사들을 사살하면서 필리핀-미국 전쟁의 첫 총성이 울렸다. 이로 인해 산후안 델 몬테의 필리핀군이 산타 메사의 미군에게 사격을 가했다.[7] 필리핀 역사학자 베니토 J. 레가르다는 첫 총성이 산후안 강 다리가 아닌 산타 메사 소시에고 거리와 실렌시오 거리 교차점에서 발사되었다고 주장했다.[8] 2023년 로니 미라비테 카잘미르의 연구[9]는 소시에고-실렌시오 위치를 반박하고, 사건 장소를 소시에고 거리 블록하우스 7 방향(현재 케손 시 소시에고 거리와 토마스 아르구에예스 거리 교차점)으로 확정했다.[9]

전쟁 중 미국 의용군은 카미노 데 마리키나를 따라 제1 필리핀 공화국 민병대 및 군인들과 소규모 교전을 벌였고, "엘 데포시토" 저수지, 펌프장 도로(현재 피나글라바난 거리, 산톨란 로드 일부), 성소에서 필리핀군을 몰아냈다.[10]

혁명과 전쟁으로 산후안 델 몬테 주민들은 대거 피난했고, 많은 토지가 버려졌다. 1898년부터 1899년까지 일부 주민들이 돌아와 판잣집에 재정착했지만, 말라리아가 유행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5][11]

필리핀-미국 전쟁 후, 마리키나와 산 마테오 가족들이 이 시를 다시 채웠다.[11] 도미니크 수도회는 산토 크리스토 농장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해 돌아왔고, 산후안 델 몬테의 많은 부분이 도미니크 농장 소유주에 의해 시 정부에 임대되었다가 결국 매입되었다.[5]

1901년, 이 시는 법률 제137호에 의해 리잘 주에 편입되었고,[12] 전 카티푸난 산후안 지부 "상구니안" 안드레스 소리아노가 초대 시장으로 재임했다.[5] 1903년 태프트 위원회 법률 제942호에 따라 산 펠리페 네리(현재 만달루용) 시에 통합되었다.[13] 1904년 산 펠리페 네리는 잠시 리잘 주의 주도가 되었다. 1907년, 산후안 델 몬테는 법률 제1625호에 따라 독립적인 시로 재건되었다.[14]

N. 도밍고 거리와 F. 블루멘트리트 거리 교차로의 Puregold 아고라 시장 지점. 슈퍼마켓 아래에 아고라 시장이 있다.


1916년, 시 정부는 마을 시장(현재 아고라 시장)이 있는 N. 도밍고 거리와 F. 블루멘트리트 거리 교차로 토지를 매입했다. 1919년, 유세비오 오렌세와 플로렌시오 G. 디아스는 남은 농장 토지를 대량 매입하여 산후안 하이츠 등 토지 구획 개발을 추진하는 필리핀-미국 컨소시엄에 판매했고, 이때 시 이름이 '''산후안'''으로 축약되었다.[5]

1933년 리잘 주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산후안은 산후안 하이츠, 마닐라 하이츠,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하이츠, 에디션 힐스, 뉴 마닐라, 로사리오 하이츠 등 주거지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다. 당시 시는 포블라시온,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에르미타뇨, N. 도밍고, 린콘,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사팡 카미아스, 술라판, 티바간의 9개 바리오로 구성되었다.[15]

1939년부터 1941년 사이, 쿠바오, 딜리만,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바리오와 크레임 캠프는 산후안에서 새로 설립된 케손 시로 이양되었다.[16]

1942년 1월 1일, 산후안은 마닐라, 퀘존 시와 함께 마닐라 대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리잘 주 자치구 중 하나로 합병되었는데, 이는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의 긴급 조치였다.[17][18] 1945년 8월 1일부터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에 의해 마닐라 대도시가 해체되면서 다시 리잘 주 자치구가 되었다.[19]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치하 계엄령 시대에 산후안, 특히 그린힐스는 많은 유명 인사의 거주지였다. 여기에는 "롤렉스 12" 멤버로 지목된 필리핀군의 로메오 에스피노, 알프레도 몬토야, 로메오 가탄[21], 이멜다 마르코스 비서 페이 히메네스 로아[21], 훗날 산후안 국회의원이 된 대통령 법률 보좌관 로날도 사모라[21], 훗날 필리핀 대통령이 된 산후안 시장 조셉 에스트라다[21], 1972년 9월 마르코스 대통령 계엄령 선포 당시 투옥되었던 언론인 막시모 솔리벤[21] 등이 포함되었다.[20]

1975년 11월 7일, 마르코스 대통령이 수도권 설립을 명하는 대통령령 제824호에 서명하면서 산후안은 리잘 주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되었다.[22]

1970년 산타 메사에서 산후안으로 이전한 클럽 필리피노는 1986년 2월 25일, 피플 파워 혁명 마지막 날 코라손 아키노가 취임하면서 제5 필리핀 공화국 설립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23]

1992년, 산후안은 국립 주택청 자료 기준 메트로 마닐라 모든 자치구와 시 중에서 무허가 정착민 가구가 가장 적었다.[24]

2007년 6월 17일, 주민들은 공화국 법률 제9388호("산후안 시를 산후안 시로 알려진 고도로 도시화된 시로 전환하는 법률")에 따라 이 시를 고도로 도시화된 시로 전환하는 것을 비준했다. 당시 하원 의원 로날도 사모라가 하원에서 시 승격 법안을 발의하고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25]

산후안은 "필리핀 대통령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비록 공식적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산후안에는 5명의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거주했다.[26]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1961–1965)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2001–2010), 페르디난드 1세 (1965–1986)와 페르디난드 2세 (2022–현재) 부자와 같이 마카파갈, 마르코스 가문 출신 대통령들과[26] 산후안이 아직 자치구였을 때 시장을 역임했던 조셉 에스트라다 (1998–2001)이다.[26]

3. 1. 초기 역사

필리핀 선(先) 스페인 시대에 현재 산후안 지역은 마지막 통치자로 라칸 타칸 왕과 그의 배우자 부안 여왕이 기록된 나마얀 왕국의 일부였다.[4]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6세기 말, 섬의 왕국과 기타 정치체들은 스페인 제국에 흡수되었고, 나마얀 왕국은 현재의 마닐라 산타 아나에 위치한 ''산타 아나 데 사파'' 교구로 개칭되었다. 산후안의 현재 지역은 1590년에 산 후안 델 몬테의 작은 ''엔코미엔다''(town, 읍)로 재분류되었다.[5]

1602년, 카미노 데 만달루용(현재의 F. 블루멘트리트 거리)을 따라 도미니코회는 늙거나 요양 중인 수도사들이 머무는 수련원을 건설했다. 도미니코회는 또한 이 지역 내에 수도원과 돌로 된 교회인 산토 크리스토 성당을 건설하고 성 십자가에 헌정했다. 세 번 재건된 이 교회는 오늘날까지 아퀴나스 학교와 도미니칸 대학 옆에 같은 자리에 서 있다.[5]

산 후안이 마닐라 시에서 격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식민지 정부는 1771년에 산 후안 델 몬테에 ''알마센 데 폴보라''(El Polvorín이라고도 함)라는 요새화된 화약 창고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화약 창고(현재의 산 후안 초등학교에 위치)는 살라팡 강(현재 살라판 크리크로 알려짐)둑을 따라 위치해 있었으며, 마닐라와 근처 산타 메사의 바리오를 산 후안 강 다리를 통해 마리키나의 ''푸에블로''(현재 마리키나)와 연결하는 카미노 데 마리키나(현재 N. 도밍고 거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5]

3. 2. 1. 지방 자치체 설립

1783년, 산후안델몬테는 지방 자치체로 승격되어 산타 아나 교구에서 분리되었고, 마닐라 주의 바리오로서 자체적인 지방 정부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 산투아리오 델 산토 크리스토에 있던 옛 포블라시온은 카미노 데 마리키나로 옮겨졌고, 그곳에 새로운 시청(현재 산후안 메디컬 센터)과 타운 광장(현재 산후안 플라자 마요르)이 건설되었다.[5]

1892년, 마닐라 대교구의 베르나르디노 노잘레다 신부는 산후안델몬테 시를 위한 새로운 교구 설립을 승인했으며, 프란체스코회가 현재 피나글라바난 거리로 알려진 지역에 산 후안 바우티스타 교회(현재 피나글라바난 교회)와 교구 사택을 설립했다.[5]

3. 2. 2. 필리핀 혁명



1896년 8월 스페인에 맞선 필리핀 혁명이 발발했을 때,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그의 측근 에밀리오 하신토가 이끄는 카티푸난 혁명군은 칼로오칸 (현재 케손 시티의 일부)의 푸가드 라윈에서 출발하여 1896년 8월 30일 아침 산후안 델 몬테의 ''엘 폴보린''과 그 군사 주둔지를 공격했다.[6][5] 보병포병으로 구성된 100명의 스페인군이 방어하던 카티푸네로스는 주둔지 사령관과 포병을 제거할 수 있었고, 나머지 스페인군은 산후안 바티스타 교회 근처의 엘 데포시토 저수지로 후퇴하게 되었다. 심각한 피해를 입은 카티푸네로스는 엘 폴보린을 점령하지 못하고, 보니파시오가 살아남은 카티푸네로스를 재조직하고 전쟁 선언문을 발표한 만달루용 남쪽으로 후퇴하여, 다른 지역의 카티푸네로스가 필리핀인들을 조직하여 식민지 정부에 맞서 무장 봉기하도록 이끌었고, 이는 군도 전역으로 반란을 확산시켰다.

3. 3. 미국 통치와 필리핀 연방

필리핀 혁명이 끝나고 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이 미국에 넘어가면서, 카티푸난의 뒤를 이은 제1 필리핀 공화국은 미군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고 양측은 전투를 원했다. 1899년 2월 4일, 모롱 대대 제4 중대 소속 필리핀군이 산타 메사(현재 마닐라 삼팔록의 일부)에서 1st 네브래스카 보병 연대의 미군에게 공격받았다.[7]

미국 의용군의 1st 네브래스카 보병 연대 소속 미군 초병 윌리엄 W. 그레이슨이 필리핀 병사 아나스타시오 펠릭스 하사와 다른 필리핀 병사를 사살하면서 필리핀-미국 전쟁의 첫 총성이 울렸다. 이로 인해 산후안 델 몬테의 필리핀군이 산타 메사의 미군에게 사격을 가했다.[7] 필리핀 역사학자 베니토 J. 레가르다의 연구에 따르면, 첫 총성은 산후안 강 다리가 아닌 산타 메사의 소시에고 거리와 실렌시오 거리 교차점에서 발사되었다.[8] 2023년 로니 미라비테 카잘미르의 연구[9]에서는 소시에고-실렌시오 위치가 반박되었고, 사건 장소가 소시에고 거리의 블록하우스 7 방향, 즉 현재 케손 시 소시에고 거리와 토마스 아르구에예스 거리 교차점으로 확정되었다.[9]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의용군은 카미노 데 마리키나를 따라 제1 필리핀 공화국 민병대 및 군인들과 여러 차례 소규모 교전을 벌였고, "엘 데포시토" 저수지, 펌프장 도로(현재 피나글라바난 거리, 산톨란 로드 일부), 성소에서 필리핀군을 몰아냈다.[10]

혁명과 전쟁으로 산후안 델 몬테 주민들은 대거 피난하여 인근 마을에 정착했고, 많은 토지가 버려졌다. 1898년부터 1899년까지 일부 주민들이 돌아와 판잣집에 재정착했지만,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말라리아가 유행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5][11]

필리핀-미국 전쟁 후, 마리키나와 산 마테오의 가족들이 이 시를 다시 채웠다.[11] 도미니크 수도회는 산토 크리스토 농장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해 시로 돌아왔다. 산후안 델 몬테의 많은 부분이 도미니크 농장 소유주에 의해 시 정부에 임대되었고, 결국 시 정부에 의해 매입되었다.[5]

1901년, 이 시는 법률 제137호에 의해 리잘 주에 편입되었고,[12] 전 카티푸난 산후안 지부 "상구니안" 안드레스 소리아노가 초대 시장으로 재임했다.[5] 1903년 태프트 위원회의 법률 제942호에 따라 산 펠리페 네리(현재 만달루용) 시에 통합되었다.[13] 산 펠리페 네리는 1904년에 잠시 리잘 주의 주도가 되었다. 1907년, 산후안 델 몬테는 법률 제1625호에 따라 독립적인 시로 재건되었다.[14]

1916년, 시 정부는 마을 시장(현재 아고라 시장)이 있는 N. 도밍고 거리와 F. 블루멘트리트 거리 교차로의 토지를 매입했다. 1919년, 사업가 유세비오 오렌세와 플로렌시오 G. 디아스가 남은 농장 토지를 대량 매입하여 산후안 하이츠 등 토지 구획 개발을 추진하는 필리핀-미국 컨소시엄에 판매했다. 이때 시 이름이 '''산후안'''으로 축약되었다.[5]

1933년 리잘 주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산후안은 산후안 하이츠, 마닐라 하이츠,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하이츠, 에디션 힐스, 뉴 마닐라, 로사리오 하이츠 등 주거지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다. 당시 이 시는 포블라시온,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에르미타뇨, N. 도밍고, 린콘,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사팡 카미아스, 술라판, 티바간의 9개 바리오로 구성되었다.[15]

1939년에서 1941년 사이, 쿠바오, 딜리만, 산프란시스코 델 몬테 바리오와 크레임 캠프는 산후안에서 새로 설립된 케손 시로 이양되었다.[16]

3. 4. 일본 점령기

1942년 1월 1일, 산후안은 마닐라와 퀘존 시와 함께 마닐라 대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리잘 주의 자치구 중 하나로 합병되었는데, 이는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의 긴급 조치였다.[17][18] 1945년 8월 1일부터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에 의해 마닐라 대도시가 해체되면서 다시 리잘 주의 자치구가 되었다.[19]

3. 5. 필리핀 독립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에 "필리핀 독립"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빈칸으로 출력했으므로, 수정할 내용 없음)

3. 5. 1. 계엄령 시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치하 계엄령 시대에 산후안, 특히 그린힐스의 고급 주택단지는 많은 유명 인사의 거주지였다. 여기에는 "롤렉스 12" 멤버로 지목된 필리핀군의 로메오 에스피노, 알프레도 몬토야, 로메오 가탄[21], 이멜다 마르코스의 비서 페이 히메네스 로아[21], 훗날 산후안 단독 선거구 국회의원이 된 대통령 법률 보좌관 로날도 사모라[21], 훗날 필리핀 대통령이 된 산후안 시장 조셉 에스트라다[21], 1972년 9월 마르코스 대통령이 계엄령을 처음 선포했을 때 투옥되었던 저명한 언론인 막시모 솔리벤[21] 등이 포함되었다.[20]

3. 5. 2. 메트로 마닐라 편입

1975년 11월 7일 마르코스 대통령이 수도권 설립을 명하는 대통령령 제824호에 서명하면서, 산후안은 리잘 주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22]

3. 5. 3. 피플 파워 혁명

1970년 산타 메사에서 산후안으로 이전한 클럽 필리피노는 1986년 2월 25일, 민간 주도의 피플 파워 혁명 마지막 날에 코라손 아키노가 그곳에서 취임하면서 제5 필리핀 공화국 설립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23]

3. 6. 현대

1992년, 산후안은 국립 주택청 자료를 기준으로 메트로 마닐라의 모든 자치구와 시 중에서 무허가 정착민 가구가 가장 적었다.[24]

3. 6. 1. 시 승격

2007년 6월 17일, 주민들은 공화국 법률 제9388호("산후안 시를 산후안 시로 알려진 고도로 도시화된 시로 전환하는 법률")에 따라 이 시를 고도로 도시화된 시로 전환하는 것을 비준했다. 당시 하원 의원이었던 로날도 사모라가 하원에서 시 승격 법안을 발의하고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25]

3. 6. 2. 대통령과의 관계

산후안은 "필리핀 대통령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비록 공식적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산후안에는 5명의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거주했다.[26]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1961–1965)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2001–2010), 페르디난드 1세 (1965–1986)와 페르디난드 2세 (2022–현재) 부자와 같이 마카파갈, 마르코스 가문 출신 대통령들과[26] 산후안이 아직 자치구였을 때 시장을 역임했던 조셉 에스트라다 (1998–2001)이다.[26]

4. 지리

산후안의 그린힐스 지역 항공 사진


산후안은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도시로, 총 면적은 595ha이다.

산후안은 북쪽과 동쪽으로는 케손시티, 남쪽으로는 만달루용, 서쪽으로는 마닐라와 접해 있다.

케손시티가 만들어지기 전 산후안의 영토는 현재보다 훨씬 더 컸으며, 칼루칸과 마리키나와 인접해 있었다. 현재 케손시티의 제1구, 제3구, 제4구 지역과 만달루용의 일부 지역은 원래 이 도시의 식민지 시대 경계 안에 있었다. 이것은 산후안 저수지가 현재 케손시티의 일부인 호스슈 빌리지 인근에 있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4. 1. 기후

산후안의 기후[7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9°C30°C32°C34°C33°C31°C30°C29°C29°C30°C30°C29°C
평균 최저 기온 (℃)20°C20°C21°C23°C24°C25°C24°C25°C24°C23°C22°C21°C
월 강수량 (mm)7mm7mm9mm21mm101mm152mm188mm170mm159mm115mm47mm29mm
평균 강수일수3.33.511.18.118.923.526.425.524.519.610.46.4


4. 2. 바랑가이

산후안 정치 지도


산후안은 정치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2개의 시의회 구역으로 구성된 21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28]

바랑가이인구 (2020)인구 (2015)면적 (ha)구역축제 날짜
아디션힐스3818336435.82ha26월 24일
발롱바토7203714124.51ha1재의 수요일 전 화요일
바티스9453929235.1ha16월 24일
코라손 데 헤수스 (포블라시온)78751047533.02ha16월 8일
에르미타뇨6361284613.79ha16월 24일
그린힐스1521312548207.86ha26월 24일
이사벨리타155616203.44ha29월 14일
카바야난5601558417.98ha25월 3일
리틀 바기오6275611043.71ha25월 1일, 5월 둘째 주 일요일
마이투나스2775269920.78ha21월 마지막 주 일요일
온세373642629.67ha211월 30일
파사데냐4417391924.25ha15월 14일–15일
페드로 크루즈4135401218.43ha112월 12일
프로그레소166916794.1ha17월 25일
리베라238128666.06ha110월 셋째 주 일요일
성 요셉 (할로-할로)213544893.81ha23월 19일
살라판8865877317.73ha18월 15일
산 페르펙토461841318.03ha11월 18일
산타 루시아8092637031.06ha212월 둘째 주 일요일
티바간3817382617.39ha26월 24일
웨스트 크라메163531542417.69ha212월 8일


5. 인구

산후안의 인구 조사는 필리핀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연도인구
19031,453
19186,773
193918,870
194831,493
196056,861
1970106,557
1975122,492
1980130,088
1990119,683
1995121,430
2000117,680
2007125,338
2010121,430
2015122,180
2020126,347

[29]

5. 1. 종교

산후안에는 몇몇 주목할 만한 예배 장소들이 있다. "''피나글라바난'' 성당"으로 더 잘 알려진 세례자 요한 대교구 성당에는 이 도시의 수호성인인 세례자 요한이 안치되어 있다. 산투아리오 델 산토 크리스토는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성당이며, 웨스트 그린힐스에 있는 메리 더 퀸 교구는 지역 필리핀-중국인 공동체를 섬기고 있다.

세례자 요한 대교구 성당


1925년부터 1971년까지 Iglesia ni Cristo는 한때 현재 F. 마날로 지역으로 알려진 옛 중앙 사무소 단지에 본부를 두었다. 이곳은 국민 건축가 후안 나크필이 설계한 아르 데코 양식의 앙상블을 특징으로 한다. 예배당은 단지의 중심부이며, 이곳에는 교회의 초대 행정부 장관인 펠릭스 마날로와 다른 목사 및 복음주의자들이 살았던 옛 중앙 사무소와 사목관도 포함되어 있다. 마날로가 1963년에 사망했을 때, 건축가 카를로스 산토스-비올라가 단지 부지에 영묘를 건설했다. 산후안의 INC 신자들은 도시 인구의 4.2%를 차지한다.

산후안에는 또한 여러 복음주의 교회가 있다. APOI(선교 및 중보를 위한 목사 협회)를 통해 도시의 영적인 분위기에 기여했다. 매년 1월, 시에서는 성경 주간을 기념하며 시청에서 국기 게양식 중에 성경 봉독 행사가 열린다. 시장의 축복을 받아 새로운 시청 건설 중에 시청 중심부에 성경이 심어졌다. 예수님은 주님이시다와 빅토리 그린힐스와 같은 주요 복음주의 교회도 산후안시에 있다.

산후안에는 두 개의 이슬람 모스크가 있는데, 발롱-바토에 있는 마스지드 함자 빈 아흐메드와 그린힐스에 있는 그린힐스 마스지드가 있다.

2024년 축일인 성 세례자 요한 날, 지방 정부는 그를 산후안시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29]

6. 경제

프라임엑스 타워, 산후안에서 가장 높은 건물


산후안은 주로 주거 지역이며 상업 및 제조업이 혼합되어 있다.

그린힐스 쇼핑 지구는 산후안의 무역 및 상업의 중심지이다. 이 쇼핑 단지에는 쇼핑몰, 비라 몰, 쇼페스빌, 그린힐스 극장 몰, 프로머네이드 몰, 이전 그린힐스 볼링장, 유니마트가 들어서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산후안의 노동력 참여율은 67%로 필리핀에서 가장 높았다.[30]

7. 문화

필로일 에코오일 센터는 필리핀 농구 협회,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 프리미어 배구 리그, 필로일 에코오일 프리시즌 컵을 포함한 수많은 스포츠 행사를 개최해왔다.

산후안 나이츠는 현재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프랜차이즈 역사상 3번의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7. 1. 와타 와타 축제

2003년부터[31] 산후안은 매년 6월 24일, 춤, 퍼레이드, 그리고 도시 거리에서 물을 뿌리는 전통적인 "바사안" (물 뿌리기) 축제인 와타 와타 축제를 통해 수호성인인 성 세례자 요한 축제를 기념한다. 축제와 그 활동은 보통 N. 도밍고 거리와 피나그라바난 거리에서 열리며, 성 세례자 요한의 이미지를 행진한다.[32]

2019년 와타 와타 축제


산후안 시 조례 제51호 2018 시리즈는 축제에서 더러운 물, 얼음, 유리병 속의 물, 충격 시 고통이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기타 물질 속의 물 또는 얼음의 사용을 금지한다. 또한 폭력, 위협 유발, 그리고 통근자에게 물을 뿌리기 위해 대중교통 차량에 고의적으로 들어가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33]

그러나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축제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의무가 시행된 상태에서 성 세례자 요한의 이미지 퍼레이드로 축소되었다.[34][35] 2022년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전통적인 "바사안"이 거리 댄스 경연, 무료 콘서트, 불꽃놀이와 함께 와타! 와타! 축제에 다시 포함되었다.[36]

7. 2. 스포츠

산후안은 스포츠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필로일 에코오일 센터는 필리핀 농구 협회,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 프리미어 배구 리그, 필로일 에코오일 프리시즌 컵을 포함한 수많은 스포츠 행사를 개최해왔다.

또한 이 도시는 현재는 없어진 수도권 농구 협회에서 시작하여 현재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에서 경쟁하고 있는 산후안 나이츠의 홈이기도 하다. 나이츠는 프랜차이즈 역사상 3번의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8. 교통

J. 루이즈 역은 산후안을 운행하는 유일한 철도 및 급행 대중 교통역이다.


산후안의 대중 교통 수단에는 지프니와 버스가 있다. 지프니 노선은 아우로라 대로(R-6)를 운행한다. 시는 시내에 있는 LRT 2호선의 J. 루이즈 역을 이용하며, 퀘존 시와의 동쪽 경계에 있는 MRT 3호선의 산토란-애나폴리스 역을 간접적으로 이용한다.

C-3 (아라네타 대로)도 산후안을 통과한다. 보조 노선으로는 큐바오로 향하는 니콜라스 도밍고(N. 도밍고)와 산토란 로드로 이어져 오르티가스 대로와 궁극적으로 필리핀 국립 경찰 본부인 캠프 크라메 근처 퀘존 시 남쪽 지역으로 향하는 피나글라바난 거리가 있다.

지프니와 버스가 교통의 주를 이룬다. 마닐라 경전철의 MRT-2호선이 지나가지만, 시내에는 J. 루이즈 역 1곳만 있다. 주요 도로 중 하나인 C-3가 시내를 통과하며, 이를 통해 칼루칸, 나보타스, 케손, 만달루용, 마카티, 파사이와 연결된다.

9. 교육

산후안 시의 교육청(SDO)은 시내 9개의 공립 초등학교, 2개의 공립 고등학교, 1개의 과학 고등학교를 관리한다.[37] 교육청은 또한 산후안 시의 24개 사립 학교를 인정하며, 이 중 7개는 유치원, 4개는 초등학교, 13개는 고등학교이다.[38]

공립 고등 교육은 바랑가이 아디션 힐스에 산후안 캠퍼스를 운영하는 국립 필리핀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제공한다.[39] 사립 고등 교육은 1924년에 설립되어 시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인 바랑가이 티바간에 있는 도미니칸 대학교에서 제공한다.[5]

도미니칸 대학교, 시에 있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


시는 또한 바랑가이 파사데나에 있는 아시아 요리 연구 센터(Center for Asian Culinary Studies)[40]와 바랑가이 그린힐스에 있는 인스티튜토 쿨리나리오를 포함한 2개의 요리 학교가 있다.[41]

10. 저명한 인물


  • 알프레드 바르가스, 배우, 케손시티 시의원[42]
  • 아만다 자모라, 전 ''피노이 빅 브라더: 커넥트'' 하우스메이트
  • 봉봉 마르코스, 제17대 필리핀 대통령, 전 상원의원, 전 북일로코스 주지사[43]
  • 크리스 티유, TV 진행자, 농구 선수
  • 돈 알라도, 농구 선수, 코치, 산후안 시의원[44]
  • 에두 만자노, 전 마카티 부시장, 배우, 전 미국 군 장교[45]
  • 에라뇨 마날로,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행정 장관 (1963–2009)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제10대 필리핀 대통령, 제3대 필리핀 총리, 제11대 필리핀 상원 의장[43]
  • 프란시스 자모라, 전 산후안 부시장, 현 산후안 시장 (2019년 이후)[46]
  • 프랭클린 드리론, 상원의원[47]
  • 개비 콘셉시온, 배우, 가수, 사업가[48]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제14대 필리핀 대통령, 제10대 필리핀 부통령, 제25대 필리핀 하원의장[49]
  • 그레이스 포, 상원의원, 전 MTRCB 의장[50]
  • 이메 마르코스, 상원의원, 전 북일로코스 2구역 대표[43]
  • 이레네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이멜다 마르코스의 딸[43]
  • 이멜다 마르코스, 전 퍼스트 레이디 및 전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51][43]
  • 제이크 에세르시토, 배우
  • 제임스 야프, 농구 선수, 산후안 시의원[44]
  • 자넬라 살바도르, 배우, 가수, 예술가
  • 제이미 조아킨, 전 TV 진행자
  • 징고이 에스트라다, 상원의원, 전 산후안 시장, 배우[52]
  • 조로스 감보아, 배우
  • 조셉 에스트라다, 제13대 필리핀 대통령, 제9대 필리핀 부통령, 제26대 마닐라 시장, 제14대 산후안 시장, 배우[52]
  • 제이비 에세르시토, 상원의원, 전 산후안 시장[52]
  • 에리카 빌롱코, 가수, 배우
  • 크리시 빌롱코, 가수
  • 루이스 만자노, 배우, TV 진행자
  • 맥스 솔리번, 언론인, 신문 발행인, 필리핀 스타 창립자[53]
  • 오필리아 디말란타, 시인, 편집자, 작가, 교사[54]
  • 폴 아르타디, 농구 선수, 산후안 1구역 시의원[44]
  • 필립 세자르, PBA 선수, 통칭 "타팔 킹", 산후안 부시장 (1992–2001), 현 농구 코치
  • 로날도 자모라, 전 산후안 단일 구역 및 산후안-만달루용 국회의원[55]
  • 테오피스토 깅고나 주니어., 제11대 필리핀 부통령[56]
  • 야스미엔 쿠르디, 배우
  • 디에고 로이자가, 배우
  • 바야니 페르난도, 전 정치인
  • 이. 알. 에세르시토, 배우
  • 자넬라 살바도르, 배우, 가수

11. 자매 도시

산후안은 필리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
다바오 시[69]




11. 1. 국내

다바오 시[69]

11. 2. 국제

참조

[1] 웹사이트 Councilors of San Juan, Metro Manila http://www.sanjuanci[...]
[2] 문서 DILG detail
[3] 뉴스 A short and sweet historical tour of San Juan City http://www.manilatim[...] The Manila Times 2018-07-26
[4] 서적 Estado geográfico, topográfico, estadístico, històrico-religioso, de la santa y apostólica provincia de S. Gregorio Magno http://archive.org/d[...] Binondo, Impr. de M. Sanchez y ca 1865
[5] 서적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San Juan, Metro Manila https://books.google[...] Life Today Publications 1994
[6] 웹사이트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official website http://nhcp.gov.ph/p[...] 2018-07-28
[7] 웹사이트 The Birth of an Army https://www.oocities[...] 2022-04-22
[8] 간행물 Review of The Hills of Sampaloc: The Opening Actions of the Philippine-American War February 4-5, 1899, Benito J. Legarda, Jr. https://www.jstor.or[...] 2002
[9] 웹사이트 http://www.philamwar[...] 2024-08
[10] 서적 The Official Records of the Oregon Volunteers in the Spanish War and Philippine Insurrection https://books.google[...] 1903
[11] 서적 Brief History of San Juan del Monte, Rizal https://nlpdl.nlp.go[...] National Library of the Philippines
[12] 법률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Rizal https://lawyerly.ph/[...] 1901-06-11
[13] 법률 An Act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https://lawyerly.ph/[...] 1903-10-12
[14] 법률 An Act Increasing The Number Of Municipalities In The Province Of Rizal From Seventeen To Nineteen, By Separating From San Felipe Neri The Former Municipality Of San Juan Del Monte And From Parañaque The Former Municipality Of Las Piñas, Giving To Each The Territory Which It Comprised Prior To The Passage Of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And Providing For The Distribution Of Funds In The Municipal Treasuries Of Said Municipalities. https://lawyerly.ph/[...] 1907-03-27
[15] 서적 Rizal Province directory https://quod.lib.umi[...] University of Michigan Digital Collections 2024-04-16
[16] 웹사이트 Quezon's City: Corruption and contradiction in Manila's prewar suburbia, 1935–1941 https://www.cambridg[...] 2017-02
[17]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ncr.emb.gov.p[...] 2022-05-28
[18] 법률 Creating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2-01-01
[19] 법률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5-07-26
[20] 웹사이트 The Final Report of the Fact-Finding Commission: II: Political Change and Military Transmition in the Philippines, 1966 – 1989: From the Barracks to the Corridors of Power https://www.official[...] 1990-10-03
[21] 뉴스 North Greenhills 39 years ago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2] 법률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1975-11-07
[23] 뉴스 Fast Facts: Presidential inauguration traditions and rituals https://www.rappler.[...] Rappler
[24] 뉴스 Health care: a luxury we can no longer afford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2-10-11
[25] 법률 An Act converting the municipality of San Juan into a highly urbanized city to be known as the city of San Juan http://www.op.gov.ph[...] 2007-03-11
[26] 뉴스 San Juan City Mayor Francis Zamora, suportado ang BBM-Sara tandem https://balita.net.p[...] 2022-02-22
[27] 웹사이트 San Ju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3
[28] 서적 Comprehensive Land Use Plan and Zoning Ordinance of the City of San Juan 2013-2023
[29] 뉴스 San Juan City declares St. John the Baptist as patron saint https://www.gmanetwo[...] GMA Integrated News 2024-06-24
[30] 웹사이트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NCR) or Metro Manila in the Philippines in 2022, by city and municipality https://www.statista[...] 2024-09-07
[31] 웹사이트 San Juan celebrates 'Wattah Wattah' Festival amid water shortage https://www.pna.gov.[...] 2019-06-24
[32] 웹사이트 San Juan's Wattah Wattah features street dancing to commemorate feast of St. John the Baptist https://interaksyon.[...] 2017-06-23
[33] 웹사이트 Sumunod po tayo sa lahat ng mga panuntunan at batas ng Pamahalaang Lungsod para sa isang ligtas, maayos at mapayapang basaan sa Wattah! Wattah! San Juan Festival bukas sa araw ng ating kapistahan! https://www.facebook[...] 2022-06-23
[34] 웹사이트 San Juan City prohibits traditional 'basaan' at Wattah Wattah festival https://mb.com.ph/20[...]
[35] 웹사이트 No 'basaan' in San Juan for 'Wattah Wattah' festival https://mb.com.ph/20[...]
[36] 웹사이트 "'Wattah Wattah' festival in San Juan returns" https://www.philstar[...] 2022-06-24
[37] 웹사이트 Division of City Schools - San Juan City Public Schools https://www.depedsan[...] 2022-11-24
[38] 웹사이트 Division of City Schools - San Juan City Public Schools https://www.depedsan[...] 2022-07-01
[3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pup.edu.[...] 2022-11-24
[40] 웹사이트 Center for Asian Culinary Studies (CACS) http://cacschef.com/ 2022-11-24
[41] 뉴스 Istituto Culinario: Are you ready to cook a masterpiece? https://www.philstar[...] 2022-11-24
[42] 웹사이트 Alfred Vargas recreates old back-to-school photo with kids https://www.gmanetwo[...] 2022-06-25
[43] 웹사이트 Ferdie and Meldy's House of love, lies, and loot https://verafiles.or[...] 2022-06-25
[44] 웹사이트 James Yap secures council seat in San Juan https://www.cnnphili[...] 2022-06-25
[45] 웹사이트 Edu Manzano stands his ground: San Juan can still vote for me https://www.rappler.[...] 2021-12-19
[46] 웹사이트 Zamora: No quarantine rule violations https://newsinfo.inq[...] 2021-12-19
[47] 웹사이트 "Drilon's 'kleptocracy' exposed ahead of Senate probe into Iloilo Convention Center" https://newsinfo.inq[...] 2021-12-19
[48] 뉴스 Gabby Concepcion, ayaw na sa pulitika pagkatapos ng nabigong mayoralty bid noon sa San Juan City https://www.pep.ph/p[...] 2022-11-25
[49] 뉴스 GLORIA MACAPAGAL ARROYO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2001-2010) https://www.councilw[...] 2023-10-24
[50] 웹사이트 TIMELINE: Grace Poe's citizenship, residency https://www.rappler.[...] 2021-12-19
[51] 웹사이트 Seizure of Imelda Marcos' San Juan assets ordered https://newsinfo.inq[...] 2022-06-25
[52] 웹사이트 Lunch with former President Estrada https://www.manilati[...] 2021-12-19
[53] 웹사이트 North Greenhills 39 years ago https://www.philstar[...] 2022-06-25
[54] 웹사이트 WRITING ABOUT FEMININITY AND WOMEN'S EXPERIENCE – Ophelia Alcantara Dimalanta, the most adored poet in the Philippines - Meeting Benches http://meetingbenche[...] 2022-06-25
[55] 웹사이트 Who's the real son of San Juan? Francis Zamora says he's been in the city all his life https://politics.com[...] 2021-12-19
[56] 웹사이트 Teofisto T. Guingona Jr. http://www.senate.go[...] 2010-10-20
[57] webarchive sunstar.com.ph, Davao, San Juan cities ink sisterhood pact http://www.sunstar.c[...] 2008-10-08
[58] 뉴스 Iloilo to showcase culture to 'sister cities' tonight https://www.panaynew[...] 2018-08-25
[59] 뉴스 San Juan's sister city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9-03-02
[60] 웹사이트 San Juan, Philippines & Maui, Hawaii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5-02-04
[61] 웹사이트 Socal Sister Cities Directory http://socalsisterci[...] SoCal Chapter Inc. 2015-02-05
[62] 웹사이트 San Juan, Philippines & Santa Barbara, California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5-02-04
[63] 문서 Date of changing San Juan from a municipality to a city. http://www.sanjuanci[...]
[64] 웹사이트 Cities http://www.dilg.gov.[...]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2012-11-15
[65] 문서 Councilors of San Juan, Metro Manila. http://www.sanjuanci[...]
[66] 웹사이트 List of Citi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3-20
[67] 웹사이트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11-07
[6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11-07
[69] 문서 sunstar.com.ph, Davao, San Juan cities ink sisterhood pact http://www.sunstar.c[...]
[70] 웹인용 San Ju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